見出し画像

책> 후루야 마사유키

아마존에서 산 후루야 마사유키씨의 'K-POP 백스테이지 패스'를 읽었습니다.

홋카이도라는 지방의 DJ로 시작해 한류·K-POP의 MC가 되어가는 20년의 자기사가 한류와 한일교류, K-POP사가 되어 흥미롭다.

나는 재중이 월 1회 MC를 했던 라디오 '후루야마사유키의 POP★A'의 재중 출연회를 듣고 후루야를 알게 되었다.그 후 코로나 직전 재중의 팬미팅 J-PARTY의 MC로 움직이는 후루야 씨를 봤어~

그래서 K-POP계에서 유명한 MC라는 인식이었는데 여러모로 깊다.

왠지 겨울연가부터 순조롭게 동방신기, K-POP 이런 느낌으로 보고 있었는데 처음에는 고생했고 우여곡절이 많았지.한류 전사 부분이 여러 가지 모르는 것도 많아 흥미로웠다.

내가 한류에 빠진 것은 2015년 가을.동방신기도 분열된 뒤다.방영이 시작된 아마존 프라임에서 한국판 꽃보다 남자 리메이크 실사 드라마를 발견하고, 한국 드라마는 어떤 것인지, 일본 만화가 원작이라면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이야깃거리로 보기 시작한 것이 계기였다.

제일 놀란 게 드라마 여주인공이 말하는 부드럽고 귀여운 한국어.한국어는 네모나고 격렬한 이미지가 있어서 뭔가 좋다고 생각했다.계속 보다 보면 한자어로 왠지 모르게 이해되는 말도 있고 해서 흥미를 갖기 시작했다.젊었을 때 직장 유지로 선생님을 모시고 한국어를 공부할 때는 의욕이 없어서 계속하지 못했지만 다시 공부하고 싶어졌다.

한류 열풍에는 관심이 있었다.그렇다고 할까 감회가 깊었다.외지인 나는 몰랐지만, 내가 다니던 오사카 남부의 중학교는 반에 한 명 정도는 재일교포가 있었다고 한다.모교로 교육실습을 가서 반에 한 명 정도는 외국인이 있으니 발언에 주의하라고 해서 처음 알았다.당시에는 통칭 사용이 보통이었기 때문에 깨닫지 못했던 것이다.
차별적인 토양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만큼 젊은 사람들이 차별 같은 것을 의식하지 않고 평범하게 한국이나 한국의 문화를 좋아하는구나, 시대가 바뀌었구나, 라고 기쁘게 생각했다.
그 후 혐한의 반전이 있어 실망했지만.

그래서 한류 열풍의 흐름은 잘 모르지만 20년 전 겨울연가 열풍.겨울연가 투어 참가자가 1000명, 버스를 수십 대나 올렸다는 게 놀랍다.무엇보다 감명깊게 본 것이 토크 이벤트에 온 배용준의 눈이 시뻘겋게 달아 무슨 일이냐고 묻자 밤새 자신의 사진에 참가자 개개인의 이름과 사인을 손글씨로 넣었다고. 주최 측의 의뢰도 아닌 서프라이즈로 직접 준비했다고 한다.

'아니, 아니, 팬분들은 가족이니까'

일본 스타와는 분명히 다른 그 "가까움"에 한류·K-POP을 추진하는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배용준 씨로부터 이 말을 들었을 때 한국 스타들은 일본에서 앞으로 엄청난 인기를 끌 것이라고 직감적으로 생각했습니다.

5인 시대 동방신기에도 종이 수가 쪼개져 있었다.

게다가 지상파 키곡의 프로그램으로 쟈니즈 소속 아티스트 이외의 보이 그룹이 활동하기 어려운 가운데, 지방의 라디오나 방송국의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출연해, 꾸준히 지방 프로모션을 전개.릴리스 이벤트도 실시하는 등 도쿄가 아니라 지방에서 팬의 저변을 넓혀 가는 전략을 취한 것입니다.

다만 저는 거기까지 동방신기와 일 때문에 관련된 일은 없었습니다.왜냐하면 그들의 카테고리는 'J-POP'이었기 때문에 NW(홋카이도 FM 노스웨이브)에 왔을 때도 한국색을 띄우지 않는 프로모션 전략 때문에 '한국어로 말을 걸지 마세요'라고 스태프들에게 주의를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얼마 전 서울 J-PARTY 뒤에 언뜻 보았던 트위터가 생각났다.

한국어가 좋다고 하면 저쪽으로 가서 들으면 된다.전부 일본어 노래로 부르느라 얼마나 고생했다고 생각하느냐는 취지였다.

어떤 흐름 속에서 나온 발언인지는 모르겠지만 같은 재중 팬들끼리 무슨 말로 부를지 옥신각신할 수 있느냐고 왠지 슬퍼졌다.

나도 한국어로 노래하는 재중이 좋다.일본어로 노래하는 재중도 좋아하고 멋지게 말의 마음을 노래에 담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역시 자신의 모국어로 노래하는 재중이 좋다.
그래서 이번에 올 한국어 세트리스트 콘서트를 일본에서도 들을 수 있어서 너무 기뻤어.

재중의 일본 콘서트 때는 구호를 한국어로 틀어도 될까 망설이기도 하지만 역시 한국어가 있어도 기쁘지, 라고 한국어로 말을 걸기도 한다.

적어도 고맙다는 정도는 그 나라 말로.영어 지상주의였던 내가 인도네시아어를 배우기 시작한 계기이고 나의 외국어 룰이다.

재중은 한국어로도 부른다.일본어로도 부른다.한국과 일본은 세트리스트도 다르다.다 다르고 다 좋아 그럼~

그냥 '재준이 한국어 할 줄 아는구나'라든가 '한국어 잘한다' 같은 발언을 보면 그건 아니겠지, 라고 생각합니다.

흐루야 씨가 문제 제기했던 한일 과거사 문제.한국 드라마나 영화를 보다가 식민지 시대 일본이 나오거나 반일 감정이 다뤄지면 움찔하고 피하는 부분도 있다.
좀 더 똑바로 마주해야겠네.





この記事が気に入ったらサポートをしてみません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