見出し画像

韓国語で韓国史学の論文を読んでみる-8-

가-7. 4년 가을 8월, 왕이 水 위에서 백제와 싸워 크게 패퇴시켰다.
が-7。4年秋8月、王は浿水上で百済と戦い、大きく敗退させた。

노획한 포로가 8천 급이었다.
生け捕りにした捕虜は8千人もいた。

가-8. 가을 8월, 왕이 좌장? 진무 둥에께 명하여 고구려를 치게 했다.
が-8。秋8月、王は左将真武等に命じて、高句麗を打たせた。

고구려 황 담덕이 몸소 7천여 병사를 이끌고 漢水에 진을 치고 방어했다.
高句麗王談徳が自ら7000余の兵士を率いて漢水に陣取り防御した。

우리 군대가 대패하여 전사한 자가 8천 인이었다.
我軍が大敗して戦死した者が8千人だった。

가-9. 겨울 11월,왕이 패수의 패천을 보복하고자 하였다.漢水를 지나青木嶺 아래에 이르렀다.
が-9。冬11月、王が浿水の敗戦の報復をしようとした。漢水を過ぎ青木嶺の下に至った。

큰 눈이 내려 많은 사졸이 얼어 죽었다.
大雪が降って、多くの士卒が凍死した。

군을 들려 漢山城에 이르러 군사를 위로했다.
軍を迂回させ、漢山城に至って軍士を慰労した。

가-10. 영략 6년 丙申,왕이 직첩 군을 이끌고 百殘國을 토벌하였다.(중략) 백잔이 義에 복종하지 않고 감히 나와 많이 싸웠다.
が-10。永楽6年丙申、王が直接軍を率いて百殘國を討伐した。(中略)百済は義(高句麗軍)に服せずに敢然と出て行き大いに戦った。

왕이 크게 노하여 阿利水를 건너,찌르듯 성을 압박하였다.
王は大いに怒って阿利水を渡り、刺迫城を圧迫した。

□□□소굴로 돌아가□다시 성을 포위하였다.
□□□巣窟に戻っ□再び城を包囲した。

百残主가 困乏해져 공손히 男女生口 1천 명과 細布1천 필을 바치며 왕에게 항복했다.
百残主は困り果てて恭しく男女生口1千人と細布1千疋を捧げ、王に降伏した。

왕에 꿇어앉아 스스로 맹세 하기를,“지금 이후부터 영원히 (태왕의)奴客이 되겠습니다” 하였다.
王にひざまずいて、自から誓約し「今から以降、永遠に(太王の)奴客になりますと"言った。

태왕이 앞선 미혹된 허물을 은혜로이 용서하고, 뒤에 순종해 온 정성만을 새겨두었다.
太王はそれまでの迷った罪を慈愛深く許し、今後従順に従う誠意だけを(心に)刻み付けた。

이에 58성과 700촌을 획득하고,백잔주의 동생과 대신 10인을 데리고 개선하며 도읍으로 돌아왔다.
これにより58城と700村を獲得し、百残主の弟と大臣10人を連れて凱旋し都に戻ってきた。

위 사료는 「삼국사기」 와 「광개토왕릉비」 의 기록이다.
上記資料は「三国史記」と「広開土王陵碑」の記録である。

391년 광개토왕은병사 4만을 동원해 석현성 등 10 여 성과 漢水이북의 여러 部落을 깨뜨렸다
고 한다.
391年、広開土王は兵士4万を動員して石峴城など10余城と漢水以北の複数の部落を破ったという。

석현성과 관미성은 백제가 세운 청목령 일대의 중요한 방어기지였다.
石峴城と關弥城は百済が立てた青木領一帯の重要な防御基地だった。

광개토왕 즉위 이전에도 고구려는 靺鞨을 동원하여 關弥嶺과赤峴城을 공격한 적이 있었고,백제도 고구려를 방어하기 위해 마식령산맥의 주요 교통로에 성과 요새를 설치하였다.
広開土王即位以前にも高句麗は靺鞨を動員して關弥嶺と赤峴城を攻撃したことがあったし、百済も高句麗から守るために馬息嶺山脈の主な交通路に城と要塞を設置した。

391년 광개토왕이 백제의 방어선을 돌파하자 석현성 등 10여 성이 일시에함락되었다.
391年広開土王は百済の防衛線の突破を試み、石峴城など10城を一挙に陥落した。

석현성을 획득한 지 3개월 뒤 광개토왕은 군을 7개로 나누어 20일을 공격한 끝에 관미성마저 함락시켰다.
石峴城を獲得してから3カ月後、広開土王は軍を7つに分け、20日間、攻撃し、ついに關弥城までも陥落させた。

관미성은 서해안 일대의 해로를 감시하거나 대중국 교류의 중요한 길목이었던 것 같다.
關弥城は西海岸一帯の海路を監視し、対中国交流の重要な要所だったようだ。

백제는 393년 빼앗긴 성들의 탈환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百済は393年奪われた城の奪還を試みたが失敗した。

이후에도 백제는 계속 실지 회복을 꾀했다.
その後も百済はずっと実地回復を図った。

당시 한수 이북 지역에 대한 백제의 지배는 여전히 강고하여, 진무가 이끄는 백제군이 水谷城까지 북상하였다 격퇴되었다.
当時漢水以北の地域の百済の支配はまだ強固で、真武が率いる百済軍が水谷城まで北上したが撃退された。

광개토왕은 백제의 침입을 격퇴한 이후‘國南’에 7 성을 축조하였다.
広開土王は百済の侵入を撃退した後「國南」に7城を築造した。

이후 양국의 전선은 패수와 한수 이북 지역 사이에서 교착되었다.
以後、両国の戦線は浿水と漢水以北の地域の間で膠着した。

가-10에서는 광개토왕 6년 (396) 광개토왕이 한성을 공격한 사실을 전한다.
が-10では広開土王6年(396)広開土王が漢城を攻撃した事実を伝えている。

396 년 당시 고구려가 육군과 수군을 동시에 운용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396年当時、高句麗が陸軍と水軍を同時に運用したものと考えることもできる。

서해를 우회한 수군이 강화, 인천, 검포 등을 공격해 백제군을 유인하자, 육군이방어선을 돌파해 수도를 포위하였다는 것이다.
西海を迂回した水軍が江華、仁川、金浦などを攻撃して百済軍を誘引すると、陸軍が防衛線を突破して首都を包囲したのである。

수도가 포위되자 아신왕은광개토왕에게 항복하고,奴客이 되겠다 맹세한 뒤 남녀 1천 명과 細布1 천 필을 바쳤다.
首都が包囲されると阿莘王は広開土王に降伏して、奴客になることを誓った後、男女1千人と細布1千疋を差し出した。

광개토왕은 아신왕의 동생과 대신 10명을 잡아 개선하고, 58성700촌을 획득했다.
広開土王は阿莘王の弟と大臣10人を得て凱旋し、58城700村を獲得した。

この記事が気に入ったらサポートをしてみません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