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마저고리

극단 달오름제 15회 공연 치마저고리
2021년 6월 23일 09:54

치마저고리

17:00,06/19,2021 후세 PE 기반

직구의 내용인 만큼, 이쪽도 직구로 소감을 말해야겠죠.
다만, 변명이지만, 지난번 (2019년 1월) 봤을 때 압도적이었고, 게다가 이번에도 지난번 이상으로 압도된 결과, 츠다쓰네미 씨나 후지카와 규지 씨처럼 초구에서 직구 승부를 할 배짱은 없습니다.
실례에 해당하는 것은 이해하고 있지만, 변화구부터 쓰기 시작할게요.

저에게 '자가 니치'(때로는 '재일'가라는 사전적인 의미를 벗어나 차별적인 색채를 띠는 경우가 있은 단어입니다만, 여기에서는 어디까지나 의 미에 충실하게 사용합니다.)의 친구가 늘어난 것은 2006년 김철의 씨와 May를 만났을 때부터입니다. 김민수 씨 등 달오름을 만난 것도 가 직후 정도. 지금 깨달았는데 벌써 15년이 지났네요. 내가 노인이 된 것도 당연하다.
정확하게는 김철의 씨와 만난 것은 몇 년 전이고, 아마 지금은 '초리 씨'라고 불리는 일이 많을 金哲義씨를 '김양'이라고 불렀습니다.가 흐름으로 가면, 2006년'May'의 '세크레타세 크레트 룸'에 출연했을 때 만난 尹千紘씨를 '인 씨''치히로 씨'라고 불러도가 상하지 않지만, 그녀는 '존 게이'라고 불렀습니다.가 후 만나게 된 재일동포들을 일본말 읽기가 아니라 거의 한국 말 읽기로 부르고 있은 것을 생각하면, 2006년이 저의 '재일동포'에 대한 사고방식의 터닝 포인트가었던 것이겠지요. 모순되지만,'김양'는 지금도 '김양'입니다. 아마 임프린팅일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저를 만나준 「在日」 사람들은 모두 일본인인 저에게도 상냥하고,실로 여러 가지를 가르쳐 주었습니다. 덕분에 「在日」 사람들과도 어느 정도 대화다운 것이 성립하게되었습니다.

그렇다고 믿고 있었어요.

자신을 과신하고 있었다고 생각해요.

작년의 일입니다만,제 아르바이트처에 「토쿠야마 씨 (달랐을지 모르지만, 이른바 「 통명 」 같은 성씨였습니다.) 」라는 여성이 있어서요.
나도 모르게 신경이 쓰여서, 「 혹시 재일입니까? 」라고 물어 버렸습니다.
물어보지 말았어야 했다고, 그녀의 표정을 보면서, 말하는 동안에 이미 생각했어요. 아니면, 더 스마트 하게들어야 했다고도 생각했어요.
그녀는 재일이라는 시각을 받은 것이 싫었던 게 아닐까.
초조해진 저는, 왠지 다음 화제를 말해버렸어요. 말하면서 "아차"하고 후회했어요.
전철 안에서 여학생의 치마저고리를 찢은 사건을 이야기하자, 그녀의 불쾌한 기분이 극에 달해 버렸어요. "기분 나빠."

나에게 친절한 (이것도 나에게 친절한)재일만이 아니다
이유를 불문하고 재일이라는 화제 또는 카테고 라이즈에 노출되고 싶지 않은 사람도 분명히 있다.
그리고 '나에게 친절한 (이것도 나 자신에 대한 과보호입니다.)'자가 니치에게도 건드리고 싶지 않은 것은 아마 틀림없이 가지고 있을 것이다.

자만을 부끄러워하는 동시에 모든 재일 사람들과 어떻게 대해야할지 모르게 되었습니다.

길어졌어요.
여기까지가 지난번의 '치마저고리'초견로부터의 시계 열적인 저의 내면의 변화입니다.

여기까지 어수선 하게 쓰고 있은 사가에 정리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는데, 그렇게 쉽지는 않았어요.
뭐 괜찮다고 자신을 납득시키고 있어요.
겨우 본론이에요.

좋아하는 장면부터 쓰기 시작해요.
처음부터 몇 번인이, 캐스트 두 사람한테 공통되는 동작으로서, 플리츠를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 다림질을 하거나, 혹은 이불 아래에 넣어 프레스한다 라는 것이 나와요.
예에 따라 제 나름대로의 해석이지만, 이것이 가 작품의 주요한 테마라고 생각해요.
민족적 정체성, 그 상징으로서의 한복. 게다가 그 가장 아이코닉한 부분이 플리츠이며, 후 술하겠지만 오콜름일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철두 철미, 두 사람은 플리츠를 함부로 다루는 일은 없었어요.

막판 치마저고리 통학이 금지되면서 (물론 정체성 포기가 아니라 찢기 사건을 계기로 한 신체적 안전의 담보 때문입니다) 절망과 분노로 모든 것을 뒤엎고 유기하려 했던 그녀가 그 행위의 마지막에 본 치마저고리를 버리려고 주저하다 결국 그것을 건드리지도 못하고 그저 통곡합니다.

적어도 2006년 이전에는 '자가 니치'라는 존재에 무관심했던 저는, 2006년 이후 다소나마 관심을 갖게 된 저는,가 전 2019년에 봤을 때에는 '가 사회적 상황을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던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에 관해서는 (가뜩이나 문장이 길게 되어 있으므로) 과거의 FB의 링크를 참고해주시면.
https://www.facebook.com/daisuke.nakamura.3388/posts/2012657118823564
불행인지 다행인지 저의 주위, 특히 연극인한테는 '나에게 친절한 자가 니치'뿐이었기 때문에 그 / 그녀들에 대한 부당한 대우, 그 원인을 만든 것은 우리'일본인'('일본인'의 정의도 별도로 필요하겠지요)인 것에 분노, 슬픔, 참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우리 일본인이 현재나 미래, 혹은 과거로 거슬러 올 라가 반성하고 사죄하고, 그 위에서 대등한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확실히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이것은 저의 이상이라는 것에 현재도 변함이 없고, 이것 자체를 바꾸려고도 생각하지 않아요.
하지만 이 생각을 부감했을 때, 정말로 대등하다고 단언할 수 있는가? 물론 저는 그렇게 믿고 있었지만, 이것은 "내가 보기에" "대등 하다 (라고 제가 생각하는 것)"에 지나지 않죠?
예를 들어 성별, 예를 들어 장애인, 각각의 문제에 대해 '관용'이어야한다는 논의가 있습니다.'대등'가라는 단어도 마찬가지로 많이 사용됩니다.'대등'에 관해서는 어의에 충실한 용례도 있지만, 적지 않게 '관용'의 다른 표현에 불과한 경우도 보입니다.
'관용'가라는 말은 '마음이 넓고 잘 사람의 언동을 받아들이는 것. 다른 죄나 결점 등을 엄하게 비난하지 않은 것. (디지털 다이지천)'로 해석됩니다.'인정한다 ''용서한다'라고 바꿔 말해도 좋을지도 모릅니다.
내가 당신들을 '용서해 주겠다'.'나 '가 상위,'너'가 하위. 아무리 생각해도 대등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네요.
대등하고 싶었던 나의 시각은 당신들을 용서하겠다, 받아주겠다 하는 멸시의 시각이 아니었던가.
그 결과가 변화구에서 쓴 "도쿠야마씨를 불쾌하게한 일"가었지 않은가.

저 개인의 반성에 탈선해 버렸네요.

그런 것을 한편으로 생각하면서, 지난주에 관극했어요.
다 본 직후에는 그런 일이 머리를 스쳐서, 뭔가 개운치 않은 일이 남아 있었어요.
좋은 연극이었기 때문에, 게다가 직구였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어 더욱 그렇게 생각했은지도 몰라요.
며칠이 지나 지금 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드디어 조금 정리된 느낌이 들어요.
위의 '그런 것'는 이 연극에는 일단 분리해서 생각해야 했다.
그런 것은,나 자신은 계속 질문하지 않으면 안되지만,가 연극의 주제는 거기가 아니라.
'아이덴티티'라는 말을 특별히 정의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동일성, 주체성, 귀 속의식' 등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사전적인의 미와는 다를지도 모르지만, 저는 존엄이라는 말이 딱 맞은 것 같아요.
연극의 라스트 근처,벽 한면에 「저 고리가 입고 싶다 」라고 크게 쓰여 있어요.

말할 필요도 없이, 단순히 패션으로서 「 입고 싶다 」는 것은 아닙니다.
저 고리를 입은 것, 즉 조선 민족으로서의 자긍심을 입은 것. 존엄을 입은 것.

이야기가 오락이 락해서 죄송합니다만, 그 존엄을 짓밟아온, 그리고 현재도 짓 밟고 있은 것은 우리 일본인입니다. 적어도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존엄을 입는다'는 당연한 욕구를 저해하는 가해자임에도 불구하고 대등하고 싶어하는 모순, 그 귀결로서 앞서 말한 '관용'가 반성과 동시에 떠오르게 됩니다.

다만 적어도 그 극장이라는 공간, 연극의 시간에서는 내 개인의 갈등을 일단 떠나 존엄을 몸에 익히고자 하는 인간의 아름다움을 마음속 깊이 찬미해야 한다고.
존경해야 한다고.
그런 결론에 도달했어요.

사실 정말, 매우,'아름다운 '작품이었습니다.
나의 갈등은 그 아름다움을 최대한 아름답다고 느끼고 내가 살아 있은 동안 계속 생각하면 된다.
그들을 장식하는 '아름다움'는 저의 갈등 등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고 절대적인 '존엄'에 의해 지탱되는 흔들리지 않은 것입니다.
그것은 극장이라는 공간, 연극의 시간에 한정되지 않고, 그녀들이 언제 어디서나 항상 걸치고 있은 것이에요.

눈부신 빛 속에서 유연 하게 춤추는 두 사람의 모습이 떠오르고,종막을 맞이합니다 (가 부분, 조금 진행 순서에 기억의 차이가 있을지도 모릅니다).오콜름이 두 사람의 머리 위로 높이 날아오릅니다. 유연하게, 강하게.
존엄의 상징이 날아올라 반짝반짝 빛을 발합니다.
オコルム의 빛은 과거를 어떻게 비추고 있나요?
적어도, 결코 존엄성을 잃지 않은 바른 미래에 투영하고 있은 것은 틀림없다고 생각해요.

빛나는 존엄을 몸에 걸친 그녀들을 만난 것을, 저도 자랑스럽게 생각해요.

#감상
#연극
#탈오름

この記事が気に入ったらサポートをしてみませんか?